분류 전체보기16 [WINE REVIEW] CU편의점 가성비 와인 #1 더 거브너 화이트 (the guv'nor) 처음으로 리뷰할 와인을 고르는 일은 저에게 상당히 어려운 결정이었습니다. 어떤 와인으로 리뷰를 시작할지 고민하며 지금까지 찍어둔 와인 사진들을 하나하나 살펴보다가, 마침내 심사숙고 끝에 선택한 와인입니다. 와인 포도 품종과 와인 매너에 대해 공부하면서 마셔본 이 화이트 와인에는 특별한 애정이 생겼습니다. 평소 화이트 와인을 선호하지 않는 남편도 이 와인을 마음에 들어 했어요. 바로 그 와인은 "더 거브너 비노 블랑코" 화이트 와인입니다. [와인 정보] 제품명 : 더 거브너 화이트 비노블랑코 와이너리 : Félix Solís(펠릭스 솔리스) 포도품종 : Verdejo(베르데호) Chardonnay(샤르도네), Sauvignon Blanc(소비뇽 블랑) 생산지역 : Spain(스페인) / Castilla(카.. 2024. 1. 24. [WINE STUDY] 와인 마실 때 기본 매너 [와인을 마실 때 지켜야 할 기본 매너] 1. 적절한 온도에 서빙: 레드 와인은 보통 실온(16-18°C)에서, 화이트 와인과 로제 와인은 냉장(8-12°C)에서 서빙합니다. 2. 적절한 와인 글라스 사용: 화이트 와인에는 좁은 구강의 글라스를, 레드 와인에는 더 넓은 구강의 글라스를 사용합니다. 3. 글라스 잡는 법: 스템(다리)을 잡아 글라스의 온도가 와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합니다. 4. 와인 시음: 와인을 입에 머금고, 공기와 혼합하면서 맛을 느껴보세요. 이는 와인의 향과 맛을 최대한 느낄 수 있게 합니다. 5. 와인 돌리기: 와인을 글라스 안에서 살짝 돌려 향을 끌어올립니다. 이는 와인의 풍미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6. 술잔 채우기: 와인 글라스는 절반 정도만 채우는 것이 일반적입니.. 2024. 1. 23. [WINE STUDY] 샴페인과 스파클링 와인의 차이 샴페인과 스파클링 와인 사이의 차이는 주로 지리적 기원, 제조 방법, 그리고 법적 규정에 의해 정의됩니다. 1. 지리적 기원: - 샴페인: 샴페인은 프랑스 샴페인(Champagne) 지역에서만 생산된 스파클링 와인에만 사용되는 이름입니다. 이 지역에서만 특정한 방법으로 생산된 스파클링 와인만이 '샴페인'이라는 명칭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스파클링 와인: 스파클링 와인은 전 세계 어디에서나 생산될 수 있으며, 여러 다른 이름으로 불릴 수 있습니다 (예: 프로세코(이탈리아), 카바(스페인), 섹트(독일)). 2. 제조 방법: - 샴페인: '전통적 방법' 또는 ''샴페노와 방식'이라 불리는 특정한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 방법에서는 와인이 병 내에서 2차 발효를 거치며, 이 과정에서 탄산가스가 생겨 와인에 .. 2024. 1. 22. [WINE STUDY] 성공하는 페어링 VS 실패하는 페어링 맥주에는 치킨, 소주에는 회처럼 간단하고 직관적인 조합이 있는 것처럼, 와인과 음식의 조화를 찾는 것은 상대적으로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분이 항상 성공할 수 있는 와인 페어링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몇 가지 확실한 조합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성공하는 페어링] (W)는 화이트화인 / (R)은 레드와인 1. 샤르도네(W) & 크림 바탕의 요리: 풍부하고 버터 같은 풍미의 샤르도네는 크림이 들어간 파스타나 버터를 듬뿍 사용한 해산물 요리와 잘 어울립니다. 2. 소비뇽 블랑(W) & 채소 요리: 신선하고 산도가 높은 소비뇽 블랑은 채소 요리나 샐러드, 염소 치즈와 잘 어울립니다. 특히 아스파라거스나 산초 같은 채소와 좋은 궁합을 보입니다. 3. 피노 누아(R) & 버섯 요리: 가벼운 타.. 2024. 1. 21.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