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인과 음식의 마리아쥬(marrage)는 와인과 음식의 조화롭고 완벽한 결합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궁합은 절대적인 규칙에 의존하지 않으며, 상황과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다양하게 탐색할 수 있습니다. 가정에서 식사할 때는 대체로 한 가지의 종류의 와인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지만, 모임이나 특별한 식사 자리에서는 다양한 와인을 경험하게 됩니다.
먼저, 와인과 음식의 마리아쥬를 고려할 때 명심해야 할 세 가지 주요 원칙은 다음과 같습니다 :
- 가벼운 요리에는 가벼운 와인, 무거운 요리에는 무거운 와인 : 와인의 바디와 요리의 풍미 강도가 서로 상응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가벼운 샐러드에는 가벼운 화이트 와인이 잘 어울립니다.
- 와인을 사용한 요리에는 그와 같은 와인 혹은 같은 계통의 와인 : 요리에 사용된 와인과 동일한 종류 또는 비슷한 스타일의 와인을 페어링 하면, 요리와 와인 간의 조화를 높일 수 있습니다.
- 지역 요리에는 그 지역의 와인 : 지역 특색을 반영하는 음식과 와인은 자연스럽게 잘 어울립니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 파스타와 이탈리아 와인의 조합은 대게 성공적입니다.
반면, 피해야 할 와인과 음식의 부적절한 마리아쥬도 있습니다.
- 어패류 혹은 갑각류와 풀바디의 레드와인 : 레드와인의 탄닌과 어패류의 단백질이 만나면 비린 맛을 강화시킬 수 있습니다.
- 스테이크 등의 고기류와 화이트 와인 : 무거운 고기 요리는 가벼운 화이트와인과 잘 어울리지 안하, 음식과 와인 사이의 균형이 무너질 수 있습니다.
- 디저트류와 스파이시한 와인 : 달콤한 디저트와 스파이시한 와인은 서로 상극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주정강화 와인이 더 적합합니다.
와인과 음식의 마리아쥬는 개인의 취향과 경험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며, 실험적인 조합을 탐색하는 것도 와인을 즐기는 또 다른 방법입니다.
[탄닌]
1. 씁쓰러움(Bitterness): 탄닌은 씁쓰레 운 맛을 주는 경향이 있습니다. 적절한 양의 탄닌은 와인에 구조를 부여하고 균형을 제공하지만, 과도하게 높은 탄닌 함량은 와인을 씁쓸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2. 건조함(Dryness): 탄닌은 입안에서 건조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이는 와인이 입안을 더 깔끔하게 만들어주고, 와인의 끝맛을 지속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3. 저항력과 보존력: 탄닌은 와인을 오래 저장하고 숙성시킬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는 몇 년 동안 와인이 더 좋은 특성을 발휘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4. 식품과의 조화: 적절한 양의 탄닌은 음식과 와인 간의 맛을 조화롭게 만들 수 있습니다. 특히, 고기와 같은 담백하고 지방이 많은 음식과의 궁합이 좋습니다.
여러 종류의 와인을 즐길 경우 마시는 순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가벼운 와인 → 무거운 와인
- 영(young) 와인 → 에이징(aging) 와인
- 스파이시(spicy) 와인 → 달콤한(sweet) 와인
- 보통 품질와인 → 퀄리티 와인
- 화이트와인 → 레드와인
[주정강화 와인(Fortified Wine)]
주정강화 와인은 알코올 함량을 높이기 위해 발효 과정 중이거나 발효가 끝난 와인에 증류주(주로 브랜디)를 첨가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와인입니다. 이 과정은 와인의 알코올 함량을 높일 뿐만 아니라, 다양한 풍미와 보존성을 부여합니다. 주정강화 와인은 일반적으로 달콤하고 진한 맛이 특징이며, 디저트 와인으로 즐기기 적합합니다. 대표적인 주정강화 와인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습니다:
1. 포트 와인 (Port Wine): 포르투갈의 두로 강 지역에서 생산되며, 달콤하고 진한 특성을 가집니다. 다양한 스타일이 있는데, 빈티지 포트, 티니 포트, 루비 포트 등이 있습니다.
2. 셰리 와인 (Sherry Wine): 스페인의 하레츠 지역에서 생산되는 셰리 와인은 드라이한 스타일부터 달콤한 스타일까지 다양합니다. 대표적인 종류로는 피노, 올로로소, 크림 셰리 등이 있습니다.
3. 마데라 와인 (Madeira Wine): 포르투갈의 마데라 섬에서 생산되며, 산미가 강하고 복합적인 풍미를 지닙니다. 산화 과정을 통해 특유의 맛을 더합니다.
4. 마르살라 와인 (Marsala Wine): 이탈리아 시칠리아 섬에서 생산되는 마르살라는 드라이에서 스위트까지 다양한 스타일로 제조됩니다. 주로 요리에 사용되기도 합니다.
주정강화 와인은 보통 디저트와 함께 서빙되며, 특히 달콤한 디저트나 치즈와 잘 어울립니다. 강한 풍미와 높은 알코올 함량 때문에 적은 양으로도 충분히 즐길 수 있습니다.
식자재의 성질을 고려하여 와인을 선택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담백한 해산물: 해산물은 일반적으로 가벼운 풍미를 가지고 있으므로, 가볍고 신선한 화이트 와인이 잘 어울립니다. 소비뇽 블랑이나 피노 그리지오가 좋은 선택입니다.
- 크리미 한 혹은 버터리한 요리: 크림이나 버터를 사용한 요리는 풍미가 더 무거우므로, 풍부한 맛의 샤르도네 같은 풀 바디 화이트 와인과 잘 어울립니다.
- 가벼운 고기 요리 (예: 닭고기, 칠면조): 가벼운 고기류는 가볍고 과일 맛이 강한 라이트 바디 레드 와인과 잘 어울립니다. 피노 누아가 이상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 무거운 붉은 고기 (예: 스테이크, 양고기): 무거운 붉은 고기 요리는 풍미가 강하고 탄닌이 있는 풀 바디 레드 와인과 매칭하기 좋습니다. 까베르네 소비뇽 또는 쉬라즈가 좋은 예입니다.
- 매운 음식: 매운 음식과의 와인 페어링은 조금 까다롭지만, 단맛이 나는 와인이 매운맛을 중화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리슬링이나 게뷔르츠트라미너와 같은 달콤하거나 반건조 화이트 와인이 좋습니다.
- 달콤한 디저트: 달콤한 디저트는 당도가 높은 디저트 와인과 잘 어울립니다. 포트 와인, 셰리, 또는 라이트하베스트(Late Harvest) 와인이 적절합니다.
▼ 화이트 와인 포도 품종 확인
[WINE STUDY] 화이트 와인 포도 품종
오늘은 화이트 와인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평소에는 레드 와인을 선호하지만, 가끔은 식전주나 해산물과 함께 화이트 와인을 즐기곤 합니다. 화이트 와인의 다양한 품종들은 처음에는 레
psychinsight.tistory.com
▼ 레드 와인 포도 품종 확인
[WINE STUDY] 와인 코너에서 당당하게 와인 고르는 법_구세계vs신세계, 레드와인 포도품종
와인 초보자 분들이 와인을 고르실 때, 종종 망설이게 되는 한 가지 요인이 바로 와인에 관련된 다소 복잡하고 생소한 용어들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카베르네 소비뇽', '메를로', '말벡'... 이
psychinsight.tistory.com
'가성비 와인 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NE STUDY] 성공하는 페어링 VS 실패하는 페어링 (2) | 2024.01.21 |
---|---|
[WINE STUDY] 화이트 와인과 어울리는 치즈 조합 추천 (3) | 2024.01.19 |
[WINE STUDY] 화이트 와인 포도 품종 (1) | 2024.01.17 |
[WINE STUDY] 구세계와인vs신세계와인 / 레드와인 포도품종 (2) | 2024.01.16 |
[WINE STUDY] 와인 초보자를 위한 도서 및 어플 추천 (1) | 2024.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