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성비 와인 가이드

[WINE STUDY] 화이트 와인 포도 품종

by 마인드플로어 2024. 1. 17.

오늘은 화이트 와인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평소에는 레드 와인을 선호하지만, 가끔은 식전주나 해산물과 함께 화이트 와인을 즐기곤 합니다.

 

화이트 와인의 다양한 품종들은 처음에는 레드 와인에 비해 다소 낯설게 느껴졌습니다. 하지만 화이트 와인에 대해 공부하면서, 와인의 다채로운 매력과 풍부한 다양성에 점점 더 매료되는 것 같습니다.

 

-

 

1. 샤르도네 (Chardonnay)

- 원산지: 프랑스의 부르고뉴 지방

- 특징: 샤르도네는 기후에 따라 와인의 특징이 조금 다르게 나타납니다. 서늘한 기후(ex: 상파뉴, 샤블리)에서 재배된 샤르도네는 섬세하고 기품이 있으며, 산도는 높지만 풍미가 매우 풍부한 특징을 갖게 됩니다. 반면, 뜨거운 태양 아래 재배된 샤르도네는 화사한 열대 과일향이 풍부한 와인이 생산됩니다.  

 

2. 소비뇽 블랑 (Sauvignon Blanc)

- 원산지: 프랑스의 로와르 계곡과 보르도, 신세계국가, 뉴질랜드

- 특징: 신선하고 산도가 높으며, , 허브, 구즈베리, 열대 과일의 향이 나는 것이 특징입니다. 뉴질랜드 소비뇽 블랑은 특히 강렬한 과일 향이 납니다.

 

3. 리슬링 (Riesling)

- 원산지: 독일

- 특징: 리슬링은 높은 산도와 꿀, 사과, 살구, 시트러스의 미묘한 향이 특징입니다. 독일의 리슬링은 달콤한 품종으로 유명하지만, 건조한 스타일도 많이 생산됩니다. 에이징 잠재력이 높아 오래 보관할수록 복잡한 풍미가 발달합니다.

 

4. 게뷔르츠트라미너 (Gewürztraminer)

- 원산지: 프랑스의 알자스 지역, 독일

- 특징: 게뷔르츠는 향신료라는 뜻입니다. 이 품종은 강렬한 장미, 스파이스, 열대 과일 향이 특징입니다. 게뷔르츠트라미너는 주로 달콤하거나 반 달콤한 스타일로 만들어지며, 재배하기가 까다로워 생산량은 많지 않다고 합니다.

 

5. 세미용 (Semillon)

- 원산지: 프랑스의 보르도 지방

- 특징: 세미용은 왁스 같은 질감과 풍부한 풀밭, , 토스트 향이 특징입니다.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소비뇽 블랑과 혼합되어 보르도의 유명한 달콤한 와인인 소테른을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6. 모스카토 (Moscato)

- 원산지: 이탈리아

- 특징: 모스카토는 주로 달콤하고 가벼우며, 강한 꽃 향기와 포도, 감귤류, 복숭아의 향이 납니다. 모스카토 다스티와 같은 스파클링 버전이 인기가 있습니다.

 

7. 피노 그리지오 / 피노 그리 (Pinot Grigio / Pinot Gris)

- 원산지: 이탈리아(피노 그리지오), 프랑스(피노 그리스)

- 특징: 이 품종은 두 지역에서 다른 스타일로 만들어집니다. 이탈리아의 피노 그리지오는 가볍고 크리스피 한 특성이 있으며, 프랑스의 피노 그리스는 더 풍부하고 둥글며 과일 향이 강합니다.

 

8. 비오니에 (Viognier)

- 원산지: 프랑스의 론 계곡

- 특징: 풍부한 꽃 향기와 복숭아, 살구의 맛이 특징입니다. 비오니에는 보통 건조하고 풍부한 질감을 가지며, 적당한 산도를 가집니다.

 

9. 샹뱅 (Chenin Blanc)

- 원산지: 프랑스의 로와르 계곡

- 특징: 다양한 스타일로 만들어집니다. 샹봉은 꽃, , 그리고 돌과 같은 미네랄 향이 특징입니다. 달콤한 디저트 와인부터 건조한 와인까지 폭넓게 생산됩니다.

 

10. 알바리뇨 (Albariño)

- 원산지: 스페인 갈리시아 지방

- 특징: 신선하고 산도가 높으며, 복숭아, 사과, 시트러스, 때로는 미네랄 향이 납니다. 알바리뇨는 보통 가볍고 신선한 스타일로 제조되며, 해산물과 아주 잘 어울립니다.

 

보르도 vs 부르고뉴 포도품종의 차이

- 보드로 지역에서는 단일품종으로 와인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까베르네 소비뇽, 까베르네 프랑, 메를로, 쁘띠 베르도, 말벡 중 2~3가지를 블렌딩 하여 양조한다. 
- 부르고뉴 지역에서는 레드와인은 피노 누아, 화이트와인은 샤르도네로 단일품종으로 양조한다.